코테를 하다가 갑자기 아스키코드에서 숫자로 변환하는 함수를 까먹어서 상당히 애를 먹었다. 이참에 정리를 해서 명확하게 해보자
int()
int() 의 경우 문자열(숫자(정수만)), 실수, bool 을 정수로 변환해준다.
float()
float()의 경우 문자열(숫자), 실수, bool을 실수로 변환해준다.
str()
str()의 경우 모든 입력값을 문자열로 변환한다.
chr()
chr()의 경우 입력값을 문자로 변환시킨다. 이때 아스키 코드에 따라 변환되기 때문에 아스키 코드를 넣으면 문자로 변환된다. 주로 코테에 많이 쓰는거 같다.
ord()
ord()의 경우 chr()와 반대로 문자를 아스키코드값으로 반환한다. 따라서 'a'를 넣으면 아스키코드값인 97을 반환한다. 단, 아스키 코드에 존재하는 값만 반환하기 때문에 '111'과 같은 문자열이나 111같은 정수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정리를 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형변환에는 int(),float(),str()을 사용하면 되고 ascii 값을 이용한 변환에는 chr(),ord()를 사용하면 된다.
'삽질방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3] 행렬 다루기 (zip, *, 행렬) (0) | 2022.03.11 |
---|---|
spring builder 오류 (error: cannot find symbol final .......) (0) | 2022.03.03 |
[python3] binary string to integer, integer to binary string (0) | 2022.02.17 |
파이썬 재귀 제한 풀기 (0) | 2022.02.16 |
정규표현식 (0) | 2021.09.02 |